본문 바로가기

C- Programming/변수와 자료형

자료형의 종류



 정수

문자

char 

signed char 

unsigned char 

정수 

(signed) short (int) 

(signed) int 

(signed) long (int) 

unsigned short (int)

unsigned (int)

 unsigned long(int)

 실수

float 

double 

long double 


문자형이란 문자 1개를 표현하기 위한 자료형으로 세 사지 자료형이 제공된다.



 문자 자료형

크기 

표현범위 

char 

1바이트 

-128 ~ 127 

signed char 

1바이트 

-128 ~ 127 

 unsigned char

1바이트 

0 ~ 255 


일반적으로 signed char와 unsigned char는 다음 절에서 소개하는 정수형 short보다 작은 범위의 정수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


정수형

정수형은 주기억장치를 차지하는 크기에 따라 short, int, long 세 가지로 분류 되고, 부호 비트의 사용 여부에 따라 다시 signed, unsigned로 분류된다.



 정수 자료형

크기 

표현 범위

 (signed) short (int)

2바이트 

-32,768(-) ~ 32,767(- 1)

 unsigned short (int)

2바이트 

 0 ~ 65,535(- 1)

 (signed) int

4바이트

 -2,147,483,648(-) ~ 2,147,483,647(1)

 unsigned (int)

4바이트

0 ~ 4,294,967,295(- 1) 

 (signed) long (int)

4바이트

-2,147,483,648(-) ~ 2,147,483,647(- 1) 

 unsigned long (int)

4바이트

0 ~ 4,294,967,295(- 1) 


표현범위를 보면 알 수 있지만 unsigned int 형은 음수를 표현하지 않음으로써 int형보다 두 배로 큰 양수까지 표현할 수 있다.


처리 속도에서 팁을 주자면 정수형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자료를 실수형으로 처리하면 처리속도가  더 느려지는 단점이 있다.


'C- Programming > 변수와 자료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수형 변수의 사용 예제  (0) 2014.02.21
정수형 변수의 사용 예  (0) 2014.02.21
변수 선언의 예  (0) 2014.02.20
변수명& 함수명 작명 규칙  (0) 2014.02.13
실수형 상수 사용하기  (0) 2014.02.13